Auer

[명확한 목표] 삶의 태도와 잘 살기 본문

읽고기억하고습득하고

[명확한 목표] 삶의 태도와 잘 살기

Auer 2023. 2. 2. 02:09

나의 자녀에게,

한가지 가이드를 해 준다면,

명확한 목표 - 즉 삶의 태도에 대한 전달이 가장 중요하다

우리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를 순차적으로 진학하면서,

각 단계/나이에 맞는 삶의 태도를 결정한다

초등학생 때는, 일찍자고 일찍일어나며, 잘 먹고 건강하며 학원을 열심히 다니자

중학생 때는, 친구를 잘 사귀고, 건강하며, 공부를 열심히 하자

고등학생 떄는, 이과/문과 전공의 공부를 심화하며 대학 전공과 대학 진학을 위해 매진하자

대학생 때는, 앞으로 취업을 위한 공부와, 20대의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자

등,

오히려 단계가 나뉘어 있고 어느정도의 틀이 있어 삶의 태도와 목표를 향해 매진하기에 수월했다

하지만 대학생 이 후, 취업/사업/기타 등의 인생에서는 명확한 단계가 주어지지 않으며,

이 시점 부터는 스스로의 삶의 태도를 기반으로 시간을 보내며 인생을 살아가게 된다

이 떄부터 잘 살고자 노력하며, 잘 사는것이 무엇인지 고민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이때부터 고민하였을 때에는 많이 늦었으며, 잘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결국 인생을, 삶을 잘 살고 있느냐 잘 살았느냐 의 질문에 대한 대답은

주체적으로 살고 있느냐의 질문과 연결 된다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주체적으로 행동하며 나의 주관하에 고민하며 의사결정을 이루고, 그 결정에 대한 결과를 받아들이는 과정들이 모든 방면에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이러한 과정을 더 체계적이고 탄탄하고 섬세하게 할 수록, 문제가 생겼을 때 대응력이 좋아지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이 쌓일 수 록 우리는 성공 이라고 얘기하며, 잘 살았다 라고 얘기하는 밑거름이 된다

 

주체적인 삶의 태도,

이러한 삶을 대하는 사고방식/알고리즘은 직장,사랑,가족,관계,개인성장,취미 등 모든 방면에 적용되며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결국 인생을 잘 살고있냐 잘 살았나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추체적인 삶의 태도를 가질 수 있는 연습방법과

잘, 섬세히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